자동차 연말정산 알아보기 신차, 중고차 별 소득공제 방법
이번 시간에는 자동차 구매 후 연말정산 소득공제에 대해서 알아보는 시간을 가져보려 한다. 자동차 소득공제는 신차와 중고차에 따라 다르게 적용된다.
각각의 경우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자.

신차 구매 시
신차를 구매한 경우라면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이 아니게 된다.
그 이유는 자동차는 취등록세를 납부하는 재산으로 간주되기 때문이다. 신차 구매는 이미 세원이 투명하다고 판단되기 때문에 과표 양성화 목적의 소득공제 대상에서 위와 같은 이유로 제외되게 된다.
따라서 신용카드나 체크카드로 신차를 구매해도 소득공제를 받을 수 없다.
중고차 구매 시
중고차를 구매하는 경우라면 연말정산 소득공제 대상에 포함되게 된다. 이는 서민 중산층 지원 그리고 중고차 거래 시장의 투명성을 높이고자 도입되어 지금도 역시 소득공제룰 받을 수 있다.
자동차 소득 공제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소득공제대상액 – 중고차 구입 금액의 10% 최대 300만 원에 한도에 대하여 공제가 된다.
공제 비율의 경우 신용카드로 결제 시 대상 금액의 15% 체크카드 또는 현금 결제 시에는 대상금액의 30%가 된다.
중고차 소득공제의 적용 조건은 연간 소비 금액의 총 급여의 25% 이상일 경우에만 적용이 된다.
소득공제 계산 어떤식으로 될까?
중고차 소득공제 계산이 된다면 구체적으로 어떻게 되게 될까? 그 예시를 보면 다음과 같다.
예를 들어 1000만 원짜리 중고차를 구매한 경우 소득공제 대상액은 100만 원이 된다. 이는 구매 금액의 10%이다.
신용카드로 결제 시 15만 원 소득공제가 되는데 위에서 말한 것처럼 100만 원의 15%이기 때문에 15만 원의 소득공제를 받을 수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체크카드 또는 현금 결제를 한 경우라면 30만 원, 소득공제 100만 원의 30%가 대상이 된다.
소득공제시 주의사항은?
중고차를 구매 했다면 반드시 현금영수증 또는 카드 영수증을 받아야 한다.
그 외에도 개인 간 중고차 거래는 명확한 거래 가격을 알 수 없고 이를 증명할 수 없기 때문에 소득공제 혜택을 받을 수 없다.
그 외에도 중고차 구매 후 해당 연도 12월 31일까지 등록이 완료되어야지 소득공제가 가능하뎌 리스나 렌트 차량의 경우 본인 명의가 아니기 때문에 소득공제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 외 기타 자동차 관련 연말정산 항목이 있다면?
자동차 보험료 역시 보장성 보험료로 간주되어 연 100만 원 한도 내에서 12%의 세액공제를 받을 수 있다.
중고차 중개 및 이전 수수료의 경우라면 100% 소득공제 대상이 된다.
글을 마치며
자동차 구매시 연말정산 문제는 복잡할 수 있다. 그렇기에 조금 더 신경을 써야하며 구매전 꼼꼼하게 확인할 필요성이 있으며 증빙 서류를 잘 줄비하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