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통사고가 났는데 가해자가 대인 접수를 거부한다면?
만약 교통사고가 발생했을 때 가해자인 상대방이 대인 접수를 거부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우선 자동차 보험에 의해 대인, 대물 접수를 하여 교통사고에 대한 피해를 보상해야 한다. 이러한 대인 접수를 고의로 거부할 경우 피해자 역시 치료비나 합의금을 지급받기 어렵기 때문에 현명하게 대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해자가 대인 접수를 거부할 때
교통사고가 발생한 뒤 보험 처리 과정에서 가해자가 대인접수를 거부하는 이유는 무엇일까? 아마도 자신의 보험료 인생을 막고자 하는 경우가 대부분일 것이다.
만약 실제로 사고가 발생한 경우라 하더라도 경미한 사고로 다친 곳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대인접수를 요청하는 경우로 악용하는 사례 등이 있다.
다만 피해자의 사고 여부와 다친 정도의 경우 가해자가 판단하는 것이 아니라 피해를 입은 사람과 의사를 통해 판단하는 것이 맞다고 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가해자는 사고가 발생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대인접수를 거부하여 보험 처리 과정을 지연시키거나 보험료 인상을 막고자 하는 경우가 있다.
대인접수 거부 해결 방법은?
자신이 과실이 없거나 적은 피해자인 경우 신체에 피해를 입었거나 통증이 발생하였다면 반드시 병원에 방문하여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할 수 있다.
보험사 측에서도 차량 보험자가 대인접수를 거부하는 경우 조치를 취할 수 없기 때문에 대처 방법을 잘 따르는 것을 추천한다.
1. 병원에 방문하여 진단서를 발급받자.
교통사고 전문병원 또는 한방병원 이디든 상관없다 자신이 아픈 부위에 진료를 받고 최소 2주 이상의 진단서를 발급받도록 하자. 병원에서 진단서를 발급받을 때 대인접수가 되어 있지 않은 경우 우선적으로는 사비를 이용해서도 치료를 진행하도록 하자. 필요한 경우라면 지속적인 치료를 받아도 무방하다.
2. 관할 지역 경찰서에 사고를 접수하도록 하자.
교통사고가 난 지역에 관할 경찰서에 직접 방문하여 진단서를 제출하고 대인 접수 거부로 신고를 접수하도록 하자.
늦어도 1개월 또는 2개월 이내에 사건 처리결과를 받아볼 수 있다. 만약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면 종합보험에 가입되어 있다는 이유로 조사가 종결되었다는 결과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3. 교통사고 사실원을 발급받자.
경찰서에 신고한 내역을 기반으로 정부 24를 통하여 교통사고 사실원을 발급받도록 하자.
교통사고 사실원을 발급받기 위해서는 해당 사건번호와 개인정보를 입력하여 인터넷으로 발급이 가능하다.
4. 가해자 보험사 고객센터로 연락하기.
가해자 보험사의 고객센터 또는 이전에 연락 온 보험사 직원에게 연락하여 치료 후 교통사고 사실원까지 발급받았다고 통보를 하고, 보험사에서 요청하는 진단서와 진료비 영수증, 교통사고사실원을 제출하도록 하자.
5. 보험사에서 대인 접수 처리를 진행한다.
위의 방법대로라면 보험사에서 대인 접수를 처리를하게 될 것이다.
교통사고사실원과 진료 내역까지 보험사에 접수된 이상 보험사에서는 가해자 의사와 관련 없이 무조건 대인 접수를 진행하게 될 것이다.
만약 가해자가 대인접수를 계속해서 거부하는 경우 보험사에서 해당 문서를 등기로 발송하면 강제적으로 대인접수가 접수되게 된다.
대인접수가 완료되었다면 남은 진료에 대해서 접수된 해당 대인사고 접수번호를 통해 치료를 받고 합의금을 요구할 수 있게 된다.
이미 납부한 치료비의 경우 보험사를 통해 청구할 수 있으며 합의금 역시도 받을 수 있기 때문에 합의가 진행되기 전까지 계속해서 치료가 가능하다.
합의전 주의해야할 것은?
대인접수 후 대부분의 경우라면 가해자 측에서 합의를 요청해게 된다. 치료가 완전히 마무리되지 않은 상태라면 합의에 주의가 필요하다. 다친 부위에 대한 치료가 얼마나 필요한지 모르는 상태이기 때문에 성급하게 합의를 하게 된다면 이후에 발생할 수 있는 후유증에 대한 치료비에 대해서는 청구가 어렵게 된다.
합의는 충분한 치료가 진행되고 추가적인 치료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면 의사 소견서를 통해 해당 부분까지 합의 금액에 포함시키는 것을 추천한다.
필요한 증거 서류는?
대인접수를 거부할 경우 대처하기 위해서는 필요한 증거 및 서류 내역은 다음과 같다.
- 교통사고 당시 영상 기록(블랙박스, 진술서)
- 병원 치료 기록 : 진단서, 영수증, 치료비 내역
- 교통사고사실원 : 경찰 접수 이후 발급
교통사고 발생 후 가해자가 대인 접수를 거부하는 사례가 많아지면서 피해자가 제대로 된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경우가 종종 있다.
다만 다치지 않았으면서 고의로 치료를 받는 경우 보험 사기에 해당하기 때문에 치료가 필요하다면 무조건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
다른 볼만한 이야기.



